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속버스 사고로 요골 개방성 골절 부상을 당한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버스전복 사고로 인해 어깨와 팔에 부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상완은 위팔을 뜻하는 것으로 어깨에서 팔꿈치까지를 

전완은 아래팔로 팔꿈치부터 손목까지를 말합니다.

아래팔 뼈는 요골과 척골 두 개로 이루어지는데 

요골은 팔 바깥쪽에 위치한 뼈 입니다. 안쪽은 

척골이 위치하고 있으며 위로는 상완골, 

아래로는 손목뼈들로 연결됩니다.






환자분은 아래팔뼈의 중간부분인 요골간부에 

골절이 있었는데 요골의 단독골절은 성인에게서

드물게 일어납니다. 물체에 부딪치는 직접적인

충격 등에 의해 생깁니다.




환자분은 연부조직의 손상이 심하여 부러진 뼈가 밖으로

튀어나온 개방성 골절의 큰 부상을 입었는데 연부조직의

손상되면 뼈가 붙는데 필요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뼈가 붇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지연유합이나 아예

붙지않는 불유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개방성 골절은 외부로부터 균이 침입해 골절부위에

염증을 일으켜 치유를 더욱 더디게 만듭니다.



게다가 여러 조각난 분쇄골절은 정복이 어렵고 정복된 골편으로

공급되는 혈액순환이 나빠 지연유합, 불유합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부러진 뼈 조각을 잃어버리거나 조각이 너무 많아 뼈가

짧아지거나 연결이 불완전하여 수술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완치하는데 몇 개월 혹은 몇 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부러진 직후에는 부위가 붓고 아프며 통증이 심해

손을 전혀 쓸 수가 없습니다. X-ray로 진단하며 

연부조직의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CT, MRI 촬영이 

필요합니다.



아래팔 뼈는 요골과 척골이 손목관절 및 팔꿈치

관절과 연결되어 있어 두 개의 뼈가 회전하며

팔을 움직이게 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또한 요골과 척골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을 주는 근육들이 붙어있어 골절이 되면 

아래 위의 뼈는 어긋나며 뼈의 위치가 

비틀어져 잡아당기고 눌러서 정복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런 이유로 전완부 골절은 수술을 해야 하는데

개방성 골절, 분쇄골절은 관혈적 정복술로 뼈를

맞춘 뒤 금속판과 나사못으로 고정합니다.

고정술 후에 오랫동안 부목이나 석고붕대로

고정하면 손목과 팔꿈치의 관절을 오랫동안

움직이지 못해 강직이 와서 폈다 굽혔다 하는

운동과 팔을 돌리는 운동이 되지 않아 

장기간 물리치료를 해 주어야 합니다.



지연유합, 불유합, 부정유합, 골수염, 혈관손상, 신경손상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고 드물게 발생하지만 연부조직의

손상이 많은 골절 및 굵은 혈관이 손상되어 출혈이 많으면

구획증후근이 발생할 수 있어 꾸준한 경과관찰을 통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환자분은 12주의 안정가료를 진단받았는데 

이 기간 동안 팔을 석고로 고정하면 강직이 

올 수 있고 지연유합이나 불유합등의 문제로

팔과 손을 쓰는데 장해가 남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사고로 인한 후유장해는 맥브라이드 평가법을

이용합니다. 불유합 및 관절강직으로 평가하며 간부의

골절은 한시장해로 평가하지만 개방성 골절 및 

분쇄골절은 뼈의 유합과정에서 단축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을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보험을 가입했을 경우 자동차 사고의 

후유장해 보,상외에 따로 후유장해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약관상 팔의 관절의 

움직임을 평가하여 정상범위에 비교하여

심한장해를 남긴 때 20%,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10%,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5%로

평가합니다.



팔은 노동을 하는데 필수적인 부위이고 자동차 사고로 인한

맥브라이드 후유장해 평가는 부상으로 인해 예전처럼 일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환자분처럼 심한 골절로 오랜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분들은 반드시 핀 제거 비용과 관련된 향후치료비와

입원한 기간의 휴업손해와 후유장해 보,상 등을

고려하여 보험회사에 청구해야 합니다.

이를 모르고 지나치거나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관련된 문제가 있는 경우 상담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방창이란 외부의 자극으로 인해 피부의 점막 등에

생긴 결손 또는 외부로 벌어져있는 상처를 말합니다.

개방성 상처는 출혈과 감염의 우려가 있습닏.

환자분은 오염된 괴사조직을 제거하는 변연절제술

및 세척술, 상처봉합술 및 음압 소독기 설치 등의

치료를 받았습니다. 상처치유는 영양 및 수분 섭취와 

감염에방이 중요합니다. 상처부위에 압박을 

가하지 않고 외력에 의한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