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분은 자동차사고로 무릎을 부딪치고 바닥을 짚고
넘어져 부상을 당했고 병원에 옮겨져 치료를 받았습니다.
이 자동차사고로 좌측 경골상단이 골절되며 무릎 외측의
측부인대가 파열되었고 우측 5번째 손가락이 골절되었습니다.
대퇴골과 경골이 접하는 관절면에는 십자형으로 교차하는
전후방 십자인대와 무릎관절의 내측면에 있는
내측 측부인대, 무릎관절의 외측면에 있는
외측 측부인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외측측부인대는 다리가 바깥쪽으로 휘지
않도록 무릎관절을 지지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외측 측부 인대가 파열되면 심한
불안정성이 있어 바닥에 앉았다 무릎을
짚고 일어날 경우 또는 걸을 때 무릎이
바깥쪽으로 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외측측부인대는 단독 파열이 드물고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나 후방십자인대 파열,
후외측 인대 복합체 파열과 같이 병합되어
잘 발생하는 손상으로 운동 중 부상, 자동차사고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X-ray 및 CT와 MRI로 진단하며 파열정도를
확인하고 치료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환자분은
경골 상단의 골절은 보존적 치료를 하였고
파열된 인대는 봉합수술을 하였습니다.
외측측부인대 단독 손상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합니다. 그러나 다른 인대의
동반손상이 있는 경우, 심한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파열 부위의 양상에 따라 봉합술 또는 봉합술과
동시에 재건술을 할 수 있습니다. 부상 후 2주이내에
수술을 하며 시기가 넘으면 파열된 인대가 주위
조직과 유착이 되어 봉합술이 어렵게 됩니다.
내측 측부인대의 봉합수술 후에는 깁스나 보조기
착용을 하고 1개월에서 2개월이 경과하면 허벅지
앞근육의 위축에 유의하며 근력이 줄어들지 않도록
근력 운동을 시작합니다. 대부분 2개월 후에는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지만
수술을 한 경우는 기간이 2~3개월 늦어질 수 있습니다.
새끼손가락의 골절은 넘어지면서 손을 잘못 짚을 때
발생하며 손가락을 만지면 날카로운 통증이 있고 멍이
관찰됩니다. X-ray로 진단하며 골절의 형태에 따라
단순골절일 경우 부목을 대어 보존적 치료를하고
복합골절이나 심한 골절일 경우 수술을 합니다.
환자분은 금속핀을 고정하는 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이 끝난 후 가능한 조기에 운동을 실시합니다.
고정하지 않은 다른 손가락이나 고정한 손가락의
수술하지 않은 다른 관절 중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관절의 운동을 시작합니다. 손가락의 고정기간이
지나면 손가락을 당긴 상태에서 치료하는 관절을
구부리고 펴고, 좌우로 스트레칭 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