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골골절후유장해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행자사고로 경골의 개방성 골절 및 견갑골 골절의 부상을 입은 환자의 사례 무단횡단은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무단횡단 사고가 났을 경우 과실비율은운전자가 더 높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차체와사람의 몸이 부딪치는 자동차사고로 무단횡단보행자는 자칫 큰 부상과 평생 안고 갈 후유장해등 치명적인 상해를 입기 때문에 절대 무단횡단하지 말고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에 길을 건너야합니다. 보행자 신호에 건너더라도 항상 좌우를살펴 차가 오는지 안 오는지 확인하는 습관을길러야 합니다. 보상금 보다 자신의 건강한 몸이비교할 수 없는 가치가 있다는 걸 아셨으면 합니다.그렇다면 무단횡단의 과실비율은 어떻게 될까요?야간 운전 중 무단횡단 중이던 사람을 친 운전자에게70%의 과실을 책정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법의 판단은사고지점이 가로등이 있는 환한 도로였고 주변에버스정류장이 있어 사람의 통행.. 더보기 오토바이 사고로 경골 근위부 개방성 골절 및 비골 분절골절의 부상을 입은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오토바이 운전자로 차량에 부딪쳐 부상을 당해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좌측 경골 간부의 개방성 골절 및 비골의 분절골절,좌측 발의 긴 발가락 굽힘근 파열, 발의 종골 괄절의압박골절 및 상완골 대거친면의 골절 등의 진단을 받았습니다.경골 근위부 골절은 전체 경골 골절의 5~10%를 차지하며대부분 자동차사고와 같은 고 에너지 손상으로 발생합니다.또한 이 경우 심한 분쇄골절과 연부조직 손상도 동반되므로정복과 고정이 어려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X-ray와 관절면침범 및 연부조직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MRI를 통해 진단하며관혈적 정복술과 핀 고정술 등 수술을 합니다. 경골골절과 비골골절은 흔히 동반해서 발생하는데비골의 분절골절의 정의는 하나의 긴 뼈에서 골절이 두 군데이상의 따로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