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은 동질의 위험에 놓여있는 사람들을 찾고 그들에게 적합한 상품을 만들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약속한 보험금을 지급한다는 어찌보면 단순하고 보편적인 원리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1) 상품기획 단계-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걱정 및 우려하는 위험들을 찾아냄
(2) 요율산출 - 위험이 발생할 확률을 통계치나 자료에 입각하여 산출함
(3) 상품개발 - 적정한 보험료를 산출함
(4) 상품의 판매 - 개발된 보험상품의 판매를 위한 보험계약자 모집
(5) 언더라이팅 - 모집된 계약자에 대한 가입심사
(6) 자산운용 - 납입된 보험료들을 투자해 미래의 보험금 지급에 대비
(7) 지급심사 - 보험관련 사고가 발생했을 때 보장하는 사고가 맞는지 확인
(8) 보험금 지급 - 약정된 보험금을 계약자에게 지급
우리나라는 경제발전의 영향으로 보험상품의 구매력이 높아지면서 저축성 보험에서 보장성 보험으로 , 인구증가 및 가족구조의 변화로 자식들의 교육보험에서 노후대비 실버보험으로 나라의 금융제도 변화로 재무건정성 규제, 상품규제등이 생겼고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보험 가입 채널이 전산화 자동화 되고 있습니다.
보험에 관한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가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좀 더 쉽게 자신에게 맞는 보험을 찾을 수 있게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보험이 어려운 이유 첫째는 주계약과 붙어있는 다양한 특약때문입니다. 우리가 종합 상해보험을 가입할 때 의료실비보험 특약, 암보험 특약 등 많은 특약을 같이 가입해야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그렇지만 특약은 주계약과 다른 특성이 있습니다.
(1) 특약 대부분은 3년마다 갱신됩니다.
->주계약이 30년이라고 해도 특약은 3년마다 갱신되며 갱신시점 보험료는 갱신시점의 위험을 반
영하여 산정됩니다. (보험금이 오르기 쉽다는 이야기)
(2) 주계약을 유지한채로 특약만 해약이 가능합니다. 주계약을 해약하면 특약은 자동적으로 해약됩니다.
(3) 무조건 가입하는 '의무부가 특약'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특약'으로 나뉩니다.
(4) 주계약 없이는 보험가입이 불가능하고 임의로 빼거나 변경 할 수 없지만 특약은 개인의 직업과 생활방식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5) 특약은 주계약에 의무적으로 결합되는 1)의무부가 특약
보장을 추가하기 위해 가입자가 선택하는 2) 선택특약
보험료를 따로 내지 않고 가입자 편의를 위한 3) 제도적 특약 이 있습니다.
(6) 종신보험을 예로들면 생명을 잃으면 정해진 금액을 지불하는 것이 주계약이라면 암보장이나 수술보장은 특약으로 선택해서 가입하는 것입니다.
(7) 주계약을 가입하고 나중에 추가적으로 특약을 넣을 수 있으나 중도에 가입할 수 없는 특약도 있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8) 특약은 갱신주기 및 보장이 되고 안되는 범위를 확인해야 하며 주계약+특약의 구성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지므로 중점적으로 보장받고 싶은 것을 결정해야 합니다.
(9) 처음 가입할 때 특약가입금액은 싸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갱신주기가 3년에서 5년으로 비교적 짧고 이 짧은 기간이 지나면 9,700원이던 수술 특약 보험료가 4만원이 넘는 등 배로 인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보험료를 가파르게 상승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이 때 갱신된 보험료가 부담되어 해약을 하면 더 큰 손해를 보기 때문에 암, 의료비등 질병관련 보험은 수명이 늘어날수록 갱신 할 때마다 보험료가 오를 가능성이 높아 가급적 피하는게 좋습니다.
(10) 갱신형 특약의 보험료가 급등하는 이유는 상품을 내놓을 때 많은 판매를 위해 적정한 금액보다는
보험료를 싸게 내놓은 뒤 자동갱신 조건으로 수익을 내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상품이 가입자들에게 받은 보험료보다 보험금으로 지급하는 돈이 더 많이 드는 문제점으로 손해율이 높아졌다는 뜻입니다. 그에 따른 손해는 보험사가 아닌 가입자가 더 많이 지게 됩니다.
(11) 특약 가운데 크게 보험료가 오른채 자동갱신이 되고 자신에게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특약은 해지하고 보험계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12) 평균수명이 늘어났기 때문에 특약의 자동갱신 시점에 오히려 보험료가 할인 될 수 있는 특약도 있습니다.
계약자들이 낸 보험료가 보험회사가 지급한 보험금보다 많을 때는 처음 가입한 보험료보다 할인이 되는데 이런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가입할 때 보험료가 비싸더라도 비갱신형 상품을 찾아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상 및 배상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크에 관한 몇가지 사실 (0) | 2019.07.19 |
---|---|
보험금 합의에 필요한 의무기록지와 의무기록지 종류 (0) | 2019.07.18 |
보험 제출 서류인 병원 의무기록지 발급받는 방법은? (0) | 2019.04.22 |
자동차 보험 관련 2019년 상반기 건설업, 제조업 일용근로자 임금표 (0) | 2019.04.22 |
보험설계할 때 고려할 부분 (0) | 201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