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글
최신 글
- 오토바이 사고로 요골과 척골골절을 당한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 차량과 부딪쳐 좌측으로 넘어지면서 부상을 당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사이드미러는 주행 중 차량 후방상황부터 좌우의 교통흐름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자동차 부품입니다. 초보운전자의 경우 운전이 서툴고 운전 시야가 좁기 때문에 사이드미러의 '블라인드 스팟'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숄더 체크인데 초보운전자는 숄더체크를 하다가 전방시야를 놓칠 수 있어 이 역시 숙달되지 않았다면 위험합니다. 특히 오토바이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로 확인할 수 없는 '블라인드 스팟'에 가려져 차선을 바꿀때 자칫 충돌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만약 '블라인드 스팟'을 숄더체크로 확인하는 것이 익숙치 않다면 판매하고 있는 초광각미러나 보조미러를 활용합니다. 그.. 더보기
- 자동차사고로 어깨의 회전근 및 힘줄의 파열로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자동차사고로 어깨를 다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어깨는 인체를 이루는 관절 가운데 유일하게 360도 회전이 가능할 만큼, 가동 범위가 넓고 거의 하루종일 움직이는 부위입니다. 하지만 그런만큼 작은 움직임이자 충격에도 손상되거나 통증에 노출되기 쉬울 정도로 불안정한 부위입니다. 환자분은 좌측 어깨의 회전근개 근육 및 힘줄에 열상을 입었습니다. 회전근개란 어깨관절의 회전운동을 시켜주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총칭하는 말로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견관절을 운동할 때 상하 및 전후 관절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것 입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대부분의 경우 퇴행성 변화가 있는 상태에서 외상없이 또는 가벼운 외상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또한 경미한 증상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다가 갑자기 심한 급성 증.. 더보기
- 자동차 추돌사고로 경추 및 요추 견갑대 염좌의 부상을 입은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동승자로 다른 차량의 후방추돌로 부상을 당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자동차의 주행 중 후방 추돌사고는 도로나 차종을 가리지 않고 자주 발생되고 있습니다. 도시지역에서 속도를 높일 수 없거나 속도를 높이더라도 금새 낮출 수 밖에 없고, 교통체증 구간에서는 거북이 걸음을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부주의해 앞차의 뒷쪽을 추돌하더라도 충격이 그다지 큰 편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 같은 유형의 사고가 지역간 도로 등에서 발생한다면 그것은 상황이 전혀 달라집니다. 속도를 높여 달리다 앞차 뒤를 들이받았을 때 결과가 어떨지는 충분히 상상할 수 있습니다. 도심지역 등 상습 체증에 시달리는 도로에서 추돌사고는 한마디로 운전자의 무리한 운전습관에 따릅니다. 운전자들은 일단 예정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할까봐 조바심을.. 더보기
- 자동차 추돌사고로 요추디스크 수술부위 부상을 당한 오토바이운전자의 사례 환자분은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 우측에서 끼어드는 차량과 추돌하여 넘어지면서 우측 하지를 바닥에 부딪히는 사고로 부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오토바이는 차량의 사이드미러에 확인이 어렵기도 하고 속도가 빨라 운전자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블라인드 스팟'에 가려져 차선변경으로 인한 사고가 많이 생깁니다. 이런 '블라인드 스팟'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이 많이 출시되고 있지만 모든 차량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가장 좋은 방법은 차선을 변경할 때 고개를 들어 좌우를 빨리 확인해보는 '숄더체크' 습관을 기르는 것 입니다. 환자분은 사고로 다친 부위를 이전에 수술한 이력이 있었습니다. 이 때 분쟁이 생기는데 보험회사는 기왕증으로 사고와의 기여도를 인정하지 않으려 하고, 환자분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