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고 후 몇 분에서 몇 시간 동안은 괜찮다고
느끼더라도 나중에는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흔히들 말하는 후유증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겉으로
드러나진 않지만 자동차 사고로 신체적인 손상 외에
정신적인 트라우마가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쉽게
합의하면 안된다고 하는 것 입니다.
다음은 가장 일반적이고 흔한 자동차 사고후
증상들입니다.
(1) 두통
가장 흔한 자동차 사고 후 증상입니다. 바로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더라도 사고가 난
다음날 아침이나 며칠 또는 몇 주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충격으로 인한 시력문제
또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같은
가벼운 증상부터 외상성 뇌손상과 같은
심각한 증상일 수 있으므로 병원에가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긴장성 두통은 자동차 사고 이후 보험청구,
자동차 수리, 추가적인 비용, 치료비 등등으로
신경쓸 일이 많아지기 때문에 생기는
증상입니다. 그러나 시야가 흐릿하거나
안구의 복시증상 (겹쳐 보이는 것),
구역질, 빛이나 소음에 대한 감도가
떨어지거나 기분과 수면 및 식욕의
변화가 있다면 이는 뇌진탕 증세이며
의사와 상담을 통해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뇌진탕은 만성적으로나 장기적으로
번지기도 합니다.
(2) 편타 손상 (whiplash)
채찍질 손상이라고도 하는 편타 손상은
뇌진탕과 동일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충격으로 갑작스럽게 부딪히면 목 안팎의
근육과 힘줄이 늘어납니다. 경추 염좌라고
하는데요. 인대, 관절, 신경 및 추간판은 사고 중에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내부의 연부조직이
손상되면 자동차 사고 후에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팔을 사용하거나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편타손상의 증상으로는 현기증, 피로,
어깨와 목 또는 머리의 통증, 근육의
뻣뻣한 느낌과 통증, 흐리거나 겹쳐보이는
증상, 제한된 운동범위가 있습니다.
편타 손상은 진단하는데 시간이 걸립니다.
자동차 사고 후 증상이 있으면 바로
진단받는 것이 좋습니다.
(3) 외상 후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군인들만 겪는 것이
아닙니다. 외상성 스트레스는 장기적인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신체적 상해를 입거나
사고로 부상을 입은 사람만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목격자,
가족 및 다른 사람들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다음이 있습니다.
1) 악몽 또는 괴로운 기억이 계속 됨
2) 사고를 떠올리게 하는 모든 것들에
대한 불안, 관련된 냄새나 소리 또는
시각적인 자극이 원인이 되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기분변화, 식욕 및 수면부족
4) 집중력 상실, 전반적인 불안 및 우울증
(4) 목과 어깨 통증
자동차 사고 후 목과 어깨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긴장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신경손상이 있을 수 있고 근육 및 힘줄과
관절이 손상될 수 있으며 연부조직의
손상을 동반할 수 있어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5) 기분과 행동의 변화
기분과 행동변화는 뇌진탕,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증 및 불안장애 등을 나타내는 증상일 수
있습니다. 과민성, 정서적인 분위기 변화는 사고를
제 때 치료받지 않아 생기는 문제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사고로 생기는 신체적, 정서적, 재정적
여파로부터 회복할 때 사랑하는 사람이나 전문적인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6) 자동차 사고 후 증상으로 식욕부진을
들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위장장애,
뇌진탕, 우울증 또는 다른 원인으로
생깁니다. 식욕부진이 걱정되면
건강이나 영양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법에 대한 조언을
해주고 식단을 짜는데 도움을 줍니다.
스트레스도 자동차 사고 후유증일 수
있습니다. 친구, 가족 또는 전문적인
상담인의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극복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수면장애는 여러가지 다른 자동차
사고의 후유증으로 인해 잠을 잘 수
없는 상태입니다. 괴로운 기억,
악몽 및 스트레스는 수면에 드는
것을 방해합니다.
(7) 따끔거리는 증상 또는 마비
목, 어깨, 팔 다리 또는 등에서 따끔거리거나
마비가 발생하면 신경 또는 조직손상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신경이 협착되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며 제대로 진단을
하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물리치료,
TENS 기계, 신경차단 및 기타 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치료 후에도 장기적으로
증상이 계속될 수 있습니다.
(8) 복통과 구역질
복통의 원인이 신체 내부에 멍이 들거나
더 심각한 내부 출혈 또는 부상으로 인해
야기된 것일 수 있습니다. 자동차 사고가
발생했을 때 안전벨트가 복부를 가로지르고
있으면서 당겨지면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
않고 며칠이 지나 천천히 고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구역질은 스트레스와
부상의 징후로 생길 수 있습니다.
(9) 멍과 변색
타박상이 즉시 나타나는 것만은 아닙니다.
손상된 혈관의 혈액이 피부 표면으로
스며나오기까지 며칠이 걸릴 수 있습니다.
내부 장기, 조직 및 뼈가 타박상을 입거나
피부 표면의 타박상이 나중에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멍이 든다고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겠지만 멍이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고
변색 및 압통이 지속되는 경우 원인을
찾기 위해 의사에게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10) 부기와 경직
붓기와 근육의 경직은 자동차 사고 후 흔한
증상입니다. 부상의 증상을 느끼기 까지
몇 시간 또는 며칠이 걸릴 수 있습니다.
염좌롸 당겨진 근육과 손상된 조직은
종종 부풀어 오릅니다. 이런 팽창은
경직을 부추기고 운동범위 제한을
가져옵니다. 관절 주위에 붓기가
발생하면 휴식과 견인, 얼음, 고정
또는 깁스 등의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조치 후에도 여전히 붓기와 근육의
경직이 있다면 운동범위를 회복하기
위해 의학적 치료와 물리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1) 현기증과 시력의 변화
사고 후 몇 시간, 몇 주 또는 며칠 동안
경험한 이중시력, 흐린 시력 및 현기증은
자동차 사고 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이런 증상은 뇌진탕, 외상 후 스트레스,
편타 손상 또는 다른 근본적인 문제
때문일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
증상이 없어질 수 있지만 계속된다면
원인을 파악하고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
(12) 청각 또는 이명 현상
귀에서 이명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자동차 사고 후유증 입니다.
충격, 뇌진탕, 또는 스트레스로 인한
소음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이명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는
한계가 있어 기간을 두고 지켜봐야
합니다. 관련 의료기관을 찾아
전문가의 의견과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13) 허리통증
허리통증은 자동차 사고 증상으로 흔합니다.
아프고 허리를 움직이는데 불편함이 있으며
근육 압박감 또는 멍이 들 수 있습니다.
찌릿찌릿한 통증이 척추 또는 팔다리로
이어진다면 손상되거나 협착된 신경에
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 또, 좌골 신경통은
일반적으로 허리에서 시작하여 다리를
따라 내려갑니다. 지속적인 통증과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자동차 사고 후 급성 또는 만성 요통을
치료하기 위해 통증 관리, 물리 치료 및
기타 요법이 필요합니다.
(14) 집중력 부족 및 기억 상실
집중력 부족 및 기억 상실은 머리 부상,
뇌진탕,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화를 계속하거나 간단한 작업을
끝내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억력은
스트레스, 통증 또는 기타 정신 및 신체
건강의 합병증이 원인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외상성 머리 부상과 스트레스는 생각을
하거나 자신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단순히 생각이 많고 복잡하여 생길 수
있지만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라면
의학적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뇌진탕 후 증후군은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어 개인의
말하는 능력이나 비판적 생각, 정보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동차 사고로 경미한 증상만 있더라도 나중에
후유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이고
증상에 대해 기록합니다. 며칠 또는 몇 주 후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섣불리 합의하는 것은
안됩니다. 자동차 사고 후에는 자신과
가족을 보호하고 돌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동차 사고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의학적 조언 뿐만 아니라 상담을 통해
법적인 부분에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보상 및 배상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사고의 과실분쟁 조정기관 및 절차 (0) | 2019.08.21 |
---|---|
자동차사고로 인한 도수치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급여기준 (0) | 2019.08.19 |
자동차보험 합의금에서 중요한 기여도를 정하는 방법 (0) | 2019.08.09 |
자동차사고로 요추 골절된 환자의 사례 (0) | 2019.08.07 |
자동차 사고 과실비율 분쟁에 관한 정보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