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백신은 연령이 6개월 이상인 모든 사람에게
권장됩니다. 독감 및 독감 합병증의 위험이 가장
높은 노약자들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올해
독감백신의 국가출하승인 양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약 2천5백만명 분으로 7월부터9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신청되어 8월부터 국가출하승인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접종 대상 및 횟수, 접종 시 주의사항
(1) 독감 백신은 생후 6개월 이상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접종할 수 있습니다.
(2) 65세 이상 어르신, 생후 6개월~59개월 소아, 임신부 및
만성페질환자 등은 우선접종 권장대상입니다.
(3) 이전에 독감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생후 6개월 이상에서
만 8세 이하 어린이에게는 4주 이상 간격으로 2차례
접종해야 하며, 접종 경험이 있다면 매년 1회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4) 생후 6개월 미만 영아에게는 독감 백신을
접종하면 안됩니다.
(5) 과거 독감 백신을 접종한 후 생명에 위협적인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거나 백신의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에도 독감 백신을 접종해서는
안됩니다.
(6) 백신 접종 후 6주 이내에 '갈랭-바레 증후군'의
과거력이 있었던 사람은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
접종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중등증 또는 중증
급성질환자는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접종을 연기해야
합니다. 갈랭-바레 증후군은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 신경병증으로 눈과 입술 등 얼굴 근육이
쇠약해지거나 마비, 운동신경에 염증, 위로 올라가는
마비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7) 9월초 백신접종이 시작되기 떄문에 늦어도 10월이
가기전에 맞는것이 좋습니다.
(8) 지역마다 있는 의료소비자생활협동종합병원에서
접종을 하면 백신가격의 절반정도에 독감 예방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9) 독감 예방접종은 3가와 4가로 나뉘어져 있는데
3가는 3가지 독감 바이러스를 4가는 A형 독감바이러스
2종과 B형 독감바이러스 2종을 포함합니다.
3가는 A형 인플루엔자 2종은 모두 들어있지만
B형 독감 바이러스는 둘 중 하나만 포함돼 있습니다.
(10) 비용적인 측면은 3가를 선택하는 것이 좋고
비용보다 독감에 최대한 걸리지 않는게 목표라면
4가를 맞는것이 낫습니다.
(11) 예방주사를 맞는다고 100% 독감에 걸리지
않는것은 아닙니다.
(12) 만 65세 출생자는 독감 예방접종 1회가
무료입니다.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도
무료입니다, 지정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접종하면 되는데 정해진 기간이 있으므로
문의해야 합니다. 아래링크를 확인합니다.
https://nip.cdc.go.kr/irgd/manage.do?MnLv1=3&MnLv2=4
'보상 및 배상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해사정인 업무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19.09.17 |
---|---|
2019년 기준 휴업손해액이란? (0) | 2019.08.29 |
자동차사고의 과실분쟁 조정기관 및 절차 (0) | 2019.08.21 |
자동차사고로 인한 도수치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급여기준 (0) | 2019.08.19 |
자동차사고 후 주의가 필요한 건강관련 증상의 종류 (0) | 2019.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