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분은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 삼거리에서
직진 중 우측 도로에서 나온 SUV 차량의
운전석 쪽에 충돌하여 부상을 당했습니다.
이 사고로 회음부와 오른쪽 손목의 통증이 있어
병원으로 옮겨졌고 진단결과 골반기관의 손상 및
음낭의 타박상, 왼쪽 경골극의 골절로 치료를
받았습니다.
골반에는 중요한 장기가 많이 들어있습니다.
골반은 몸통 하부의 뼈로 형성된 고리모양의
구조입니다. 골반은 장골, 좌골, 치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릴 때는 분리되어 있다가 성장하면서
하나로 합쳐집니다. 척추의 제일 아랫부분인
천골은 인대에 의해 골반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골반의 이러한 형태는 커다란 그릇과 같은
공간을 이루며 내측에 여러 가지 소화기관과
비뇨, 생식기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다리로
내려가는 중요 신경과 혈관들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골반 하부에는 허벅지인
대퇴부를 움직이는 근육들이 부착되어 있고
골반 상부에는 몸통을 움직이는 근육들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골반은 중요 내부
장기들과 혈관, 신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골반골의 손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내부 장기 손상 및 출혈, 신경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골반손상과 동반된 음낭의 외상은 크게
고환 파열과 음낭 혈종으로 나뉩니다.
특히 음낭 외상으로 인한 통증은 초기에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하고,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만성 고환통 등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음낭은 외상을 받게 되면 대개
심한 부종을 일으키게 되고 통증이 심하여
의사의 진단만으로 확인이 어렵고 초음파
검사로 진단합니다. 음낭 외상으로 고환파열이
동반되면 72시간 이내에 수술이 권장됩니다.
고환절제술, 고환 부분 절제술, 단순 봉함,
보존적 치료로 구분하여 치료합니다.
환자분은 음낭의 타박과 우측 고환의 파열로
고환 절제술을 받았습니다. 고환 절제술 후에
남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술 후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은
삼가며 격렬한 활동은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남아 있는 고환은 한 달에 한 번씩 자가 검진을
해야 하며, 예약된 날짜에 병원을 방문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치료를 진행하거나 추적
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경골 근위부는 관절 부분과 비 관절 부분으로
나뉩니다. 관절 부분은 '경골과'라고 불리는
부분이고 비 관절 부분은 '경골극'과 '과간융기',
'경골결절' 그리고 '과하부' 입니다.
경골극 골절은 십자인대의 안정성 파괴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경골과간 융기부에는
내측과 외측에 두 개의 극이 있어 십자인대가
직접 부착되는 부위는 아니지만 근처에
있으므로 무릎 인대의 견열골절에서 극의
포함 여부를 잘 확인해야 합니다.
견열골절은 찢김골절이라 하며 근육이나
인대가 붙는 뼈 부분에서 갑작스런 힘에 의해
뼈의 파편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를 말합니다.
골편이 전위되면 무릎관절을 펴는데
장해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치료가 중요합니다.
경골극의 견열골절은 자동차사고의 외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치료는 관절의 운동범위와
안정성을 정상화시키는데 있으므로 각형성의
변형이나 전위를 바로잡기 위하여 견인요법이나
도수정복을 하는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고
도수정복이 어려운 경우 관혈적 정복으로
치료합니다. 자동차 사고를 당해 후유장해가
있으면 맥브라이드 노동능력상실률표로
지급률을 결정하고 그 외에 개인보험이 있으면
AMA 방식으로 후유장해 평가를 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맥브라이드표와 AMA 표에는 한 쪽
고환 절제에 관한 후유장해 적용 내용이
없습니다. 자동차 사고를 당해 고환의
한 쪽을 절제하면 중증도와 만성, 외과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이상 증상이나
성 기능적 문제가 없다면 후유장해
대상은 아닙니다. 하지만 자동차 사고로
비뇨, 생식기 기능 손상이 발생한 경우
발기부전 및 남성호르몬의 저하로
생기는 후유증에 대한 향후치료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환과 관련한
비뇨기과적 치료가 필요하다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고 치료비를 향후치료비에
포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환자분의 경우 향후치료비나 후유장해
발생 가능성에 대한 지식이 없으므로
보험회사의 보상 기준에 없다는 말만
듣고 쉽게 합의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담당자와 상담하여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상 및 배상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마장 낙상으로 상완골 간부가 골절된 환자의 사례 (0) | 2019.12.17 |
---|---|
스피닝을 타다가 발목골절 및 전경비인대와 종비인대 파열을 당한 환자의 사례 (0) | 2019.12.13 |
자동차사고로 주상월상골간 인대가 손상된 환자의 사례 (0) | 2019.12.05 |
종골골절로 산재보험 장해등급을 받고 조정을 요청한 환자의 사례 (0) | 2019.11.29 |
자동차 동승자 사고로 대퇴골 경부 골절 및 탈구로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례 (0) | 201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