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전해드릴 내용은 60km/h의 속도로 운전하던 도중
유턴하는 차량과 부딪쳐 왼쪽 다리가 운전석에 깔려
부상당한 환자의 사례입니다.
환자분은 좌측의 고관절 탈구 및 비구 후벽 골절과
엉덩이 및 대퇴 부근의 좌골신경 손상이 있었습니다.
비구골절은 발생빈도가 적고 골절의 정복과 치료가
다른부위보다 훨씬 어려우며 큰 후유증과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비구는 고관절의 둥글고 움푹한 부분인 '와'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체중부하를 담당하는 부위입니다.
CT등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골편의 전위, 분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관절의 관절기능 회복을 위해서
부러진 골편들의 정환한 정복과 내고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환자분처럼 비구후벽이 골절된 경우 내고정이
필요하며 환자분의 경우 나사못과 체인형태의
금속판으로 고정하는 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비골 신경마비와 표재성 피부 감염및
외상성 관절염의 후유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시간이 경과되어 퇴행성 관절염 및
고관절 석회화가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비구골절의 수술 후 걷는 동작에 제한이
생기면 후유장해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비구 골절의 경우 자동차 보험의 맥브라이드식
노동력 상실은 12%이며 구체적으로 고관절이 맞닿는
부위의 한쪽면만 골절되었다면 5%, 양쪽면이 모두
골절되었다면 11%, 대퇴골과 비구 사이에 1인치 이상
전위가 있는 경우는 27%의 장해율을 적용합니다.
개인보험의 경우 고관절의 운동범위를 측정하여
관절의 완전 강직 30%부터 고관절 운동범위가 약간 제한된
경우인 5%까지 후유장해를 평가하여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비구골절과 동반된 신경마비는 대부분 좌골신경 마비입니다.
좌골신경은 척수에서 시작되어 골반과 엉덩이를 통해
각 다리 아래쪽까지 연결됩니다. 이 신경이
우리몸에서 가장 긴 신경이며 다리를 제어하고
느낄 수 있게 합니다. 이 부위의 손상을 입게 되면
무릎과 발을 굽히는 동작이 안되고 발바닥과 하퇴 외측에
지각상실이 오며 국소궤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좌골신경의 손상은 신경 근전도 검사나 MRI검사를
하여 신경손상의 원인을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습니다. 신경손상이 되었을 때
보존적 치료는 물리 치료 및 족수 보조기를 착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지 않을 때
신경 박리술이나 봉합술을 시행합니다.
만약 치료 후에도 무릎과 발을 굽하는 관절 운동범위가
제한적이라면 후유장해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경손상은 완전손상과 불완전 손상에 따라
신경 회복기가 다르고 환자의 나이와 다른 요인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감각이 돌아오는 시점까지
보험회사는 차일피일 후유장해 평가 및 보험금 지급을
미룰 수 있습니다. 또한 교통사고로 인한 과실과
환자의 소득과 후유장해 평가를 하는 기관 등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합쳐져 장해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인이 이 모든 과정을
알아보고 대응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상담을 통한 여러가지 비슷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보상 및 배상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스좌석 사고로 코뼈골절 및 요추 압박골절을 당한 환자의 사례 (0) | 2019.04.01 |
---|---|
교통사고 부상 후 이명및 어지러움 증상이 있는 환자의 사례 (0) | 2019.03.28 |
트럭과 충돌 후 복부외상 및 다리의 골절상을 당한 환자의 사례2 (0) | 2019.03.27 |
트럭과 충돌 후 복부외상 및 다리의 골절을 당한 환자의 사례1 (0) | 2019.03.25 |
트럭의 충돌로 경추부분 골절 및 신경손상된 환자의 사례 (0) | 2019.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