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 및 배상 사례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행자 교통사고로 뇌출혈 및 골절로 인한 이석증 진단받은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보행자 교통사고 이후 두피열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CT촬영 결과 두개골 및 안면골에 뇌출혈과 골절이 발생했지만 심하지 않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는 의사의 판단이 있었습니다. 또한 환자분이 식전 메스꺼움을 느끼기 시작했고 자세를 바꿀 때마다 어지러움을 호소했습니다. 비디오 안진검사(여러가지 자극을 준 후의 눈의 움직임 관찰)를 시행하고 이비인후과에서의 검사결과 오른쪽 후반고리에 발생한 이석증으로 판단되어 이석정복술을 시행했습니다. 환자분은 이후 경과관찰이 필요하며 6주간의 안정을 취해야 한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석증이란 몸의 평형과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반고리관이라는 평형기관에 이석이라는 작은 돌이 움직이면서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전정기관에 있어야 할 정상 구조물,.. 더보기 교통사고로 인한 요추 3번 압박골절 환자의 영구장애 진단 사례 교통사고로 인한 요추 3번 압박골절 환자의 영구장애 진단 사례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환자분은 승용차 운전 중 시속 80km/h로 가드레일을 들이받아 목격자의 119신고로 응급실에 실려오게 되었고 극심한 허리 통증을 호소하였습니다. 진단 결과 3번 요추가 압박골절된 상태였습니다. 요추(허리 뼈)는 다섯 개의 척추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체와 머리를 지지하고, 체중의 대부분을 지탱하며 척수를 보호하는 큰 역할을 합니다. 환자분은 보조기 치료를 시행하였고 약 10주간, 즉 2달 이상의 안정을 취해야 하는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교통사고 이후 4년 동안 꾸준한 요통이 찾아와 약물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척추측만증 증세가 나타나 현재 11도 변형의 뚜렷한 기형, 노동 상실률 29%에 해당하는 영구장애 후유 진.. 더보기 교통사고로 십자인대 손상 및 반월상 연골 파열된 환자의 사례 자동차 탑승 중 충돌 사고가 일어나면 무릎이앞으로 밀리면서 정면에 있는 물체와 부딪치거나보행 중 차량이 정면에서 충돌하며 무릎이비틀리고 이 때 십자인대 파열이 일어납니다.무릎 십자 인대는 무릎관절을 지지하는 힘줄입니다.무릎관절에는 이 힘줄이 네개가 있고 전방십자인대,후방십자인대, 내측부인대, 외측부인대 라고 합니다.전방십자인대는 무릎관절을 이루는 정강이뼈와허벅지뼈를 기준으로 서로가 전방으로 어긋나지않도록 잡아주는 지지대 역할을 합니다.다칠 때 무릎이 비틀리는 느낌과 함께끊어지는 증상을 스스로 알 수도 있으며손상 직후 통증과 붓기로 걸을 때불편하고 무릎의 관절 운동이 잘 안됩니다.전방십자인대는 고령이나 기저질환 등합병증이 예상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수술로 치료합니다. 십자인대나 연골의 파열은 단순 X-ray.. 더보기 교통사고로 흉추12번 압박골절 및 발목뼈 골절을 당한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교통사고로 인해 흉추11번과 12번 압박골절 및 발목골절, 좌측 위의 어금니가 손상되는 부상을 당했습니다. 보통 차량이 흔들리면서 허리부분의 척추가 손상되기 쉽습니다. 특히 흉추11번 12번은 체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므로 많은 압력을 받습니다. 이런 압력에 의해 등뼈의 추체에 골절이 생기고 골다공증이 있는 고령자들에게 특히 잘 발생합니다. 척추 압박골절은 X-ray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CT 및 MRI로 진단하면 척추의 압박정도나 척추신경의 눌림, 추간판 손상에 대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피적 성형술은 전신마취에 부담이 되거나 이미 골다공성 변화가 있어 기구를 삽입, 고정하기 쉽지 않은 환자들에게 적용하는 수술입니다. 이는 척추에 바늘로 골시멘트 혼합물을 주입하는 수술입니다. 그러나.. 더보기 자전거 사고로 인한 측두골 골절 및 외상성 고막파열 환자의 사례 우회전 금지 신호를 무시한 차량에 자전거가부딪쳐 자전거 운전자가 부상당한 사례입니다.자동차 운전자가 교차로와 인접한 횡단보도에서교차로의 차량 신호등이 적색인데도 횡단보도를 통과하여 교차로를 우회하다가 자전거와 부딪친사고로 자전거 운전자가 다쳤고 이는 교통하고특례법상 신호위반 중과실에 해당하여 처벌을 받게 됩니다.신호위반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환자분은 차에 부딪친 후 자전거에서 떨어지며그 충격으로 인한 측두골 골절, 진탕, 안면마비,귀의 손상, 쇄골의 골절, 다발성 피부 손상등으로 치료를 받았습니다. 귀의 고막은 고막을 손상시킬 수 있는 외부 충격이나 외상에 의해 파열되는데 교통사고에 의해 머리에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 소리의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고막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서손.. 더보기 발목골절 인대손상 및 쇄골견봉 골절된 오토바이 운전자의 사례 환자분은 오토바이 운전자로 직진하던 중 좌회전 하는차량에 부딪쳐 부상을 당했습니다. 이럴 경우 통상오토바이 운전자에게도 과실비율 10~20%를 적용해 왔지만피해자가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100% 가해자 과실로 법이 바뀌었습니다. 금융당국과 손해보험협회는 일방과실 적용사고 유형을 20여개로 확대하고 교차로 앞직진 차선에서 갑자기 무리하게 좌회전을 해 사고가 나면좌회전 차량의 100% 과실이 적용되는 만큼 이를 꼭 기억하고안전운전 하시기 바랍니다.환자분은 이 사고로 인해 쇄골 견봉의 골절 및 왼쪽발의 골절과 인대손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쇄골은 흉골과 견갑골을 이어주는 긴 뼈로 견봉쇄골 인대는쇄골과 상완골 (윗팔뼈)를 연결하여 어깨의 관절운동을담당합니다. 대부분 쇄골 골.. 더보기 버스좌석 사고로 코뼈골절 및 요추 압박골절을 당한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버스 승객으로 버스가 부딪치는 사고를 당했습니다.교통사고가 나면 의자에 앉아있던 탑승자는 앞좌석에얼굴이 부딪쳐 치아가 손상되고 코뼈가 부러지기 쉽습니다.환자분은 충격으로 인해 치아가 파절되고 아탈구 되었다는진단을 받았습니다.치아는 지탱하는 조직이 손상된 정도로 손상의 단계를구분합니다. 치아의 흔들림이 심하지 않을 땐치아 진탕, 치아 아탈구라고 하며이때는 다친 치아의 사용을 억제하고 자극적이거나차갑고 뜨거운 음식을 피해 경과를 보고치료방법을 판단합니다. 몇 주 지나면 증상이 없어지거나 자연적으로치유되기도 하지만 치아의 흔들림이 심해 치아가 탈구되거나 완전 탈구 된 경우 치아를 원래 위치로복원하고 고정하는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레진이나 와이어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다친치아가 많이 흔들리거나 위치가 .. 더보기 교통사고 부상 후 이명및 어지러움 증상이 있는 환자의 사례 환자분은 도로에서 앞 차량을 피해 오른쪽으로 차선이동을 하고 있었는데 뒤쪽에서 다른 차량이 충돌했고 그 후 차량이 2차로 중앙분리대에 충돌하여 부상을 당했습니다. 그 후 윗배가 아프고 뒷 목과 허리가 아픈 증상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머리의 표재성 손상과 찰과상 및 아데노이드 비대를 동반한 편도의 비대, 만성 상악동염, 경추와 요추의 채찍질 손상, 복벽의 타박상등의 진단을 받았는데 아데노이드란 코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비인두의 상벽과 후벽에 위치한 삼각형 모양의 림프조직을 말하며 구개편도와 함께 인체의 일차적인 면역기능을 담당합니다. 아데노이드와 구개편도는 어릴 때 점차 작아져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급성 세균감염의 반복과 비강 또는 부비동의 만성염증에 의해 림프조직이 과다 증식하..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다음